중국2 나말여초 문학사의 새 지평 나말여초는 자기중심적인 문화를 일궈가던 고대사회를 벗어나 중세보편주의로 진입하던 시기였다. 이때를 보편주의시대라 부르는 이유는 공동의 문자와 사상으로 동아시아 중세문명을 꽃피우기 시작했기 때문이다. 이 문명권의 중심에는 당시 세계제국이던 당나라가 자리잡고 있었다. 우리 한문학의 비조로 일컬어지는 최치원도 12세 어린 나이에 당나라 유학길에 올라 선진문물을 흠뻑 섭취할 수 있었다. 그렇다면 세계문화를 체험하고 돌아온 최치원은 무슨 생각을 했을까? 다음과 같은 그의 발언에서 나말여초문학사의 동향을 가늠할 단서를 발견할 수 있다. "문화가 중국과 서로 섞여 같게 된 것은 기쁘게 여기고자 하나, 필설은 중국과 차이가 있어 부끄럽습니다. 무엇 때문이겠습니까? 문체는 비록 충적을 짝하게 되었지만 토성은 조음과 구별.. 2023. 1. 24. 향가의 명칭과 내포 향가는 삼국시대에서 통일기를 거치면서 생성, 전래된 자국어 시가 전반에 대한 명칭으로, 단일한 갈래가 아니라 여러 층위의 작품군과 시가양식을 망라한다. 향가라는 용어가 처음 발견되는 문헌은 '균여전'과 '삼국유사' 등 고려시대에 씌어진 문적으로, 삼국시대~통일기에도 이 명칭이 실제 쓰였는지는 정확히 알 수 없다. 향가라는 용어가 가장 많이 사용된 문헌은 '삼국유사'이다. 여기서 향가는 단지 자국어 시가라는 뜻 외에 몇가지 중요한 의미를 내포하고 있다. 이와 관련하여 주목을 요하는 텍스트가 '월명사도솔가'이다. 국난을 타개할 산화공덕을 베풀라는 경덕왕의 당부에 월명사는 '자신은 화랑의 무리에 소속된 미천한 신분의 사람인지라 향가는 할 수 있지만 전아한 양식의 범패는 모른다'고 하였다. 그럼에도 그의 향가는.. 2023. 1. 18. 이전 1 다음